본문 바로가기

Linux

Ubuntu 24.04 LTS 버전 재설치 작업

기존에 18.04 혹은 20.04를 사용하던 Ubuntu 서버들을 24.04 LTS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작업을 수행 했습니다.

 

1. USB 연결 후 서버 재기동 하여 BIOS 진입

 

2. 부팅 순서 USB를 제일 상단으로 수정 후 저장

 

3. 재기동 되면 Try or Install Ubuntu 선택

 

4. 설치가 진행된 후 Reboot Now 선택 후 USB 제거

 

5. Ubuntu 초기 설정 진행
   5-1 Proxy 설정 (미설정 하고 Done)
   5-2 File System 설정 (LVM)
          *최초 VG(볼륨 그룹)의 크기가 100일텐데 수정 안하고 그대로 진행함, 이 용량은 / 디렉토리가 됨
            이후에 새로운 VG 생성하여 해당 VG에 나머지 용량을 /data001에 할당 했습니다.
             LVM(logical volume management) : partition의 개념대신 volume 이라는 단위로 저장 장치를 다룬다. 스토리지 확장, 변경에 유연하고 크기를 변경할 때 데이터 이전이 필요 없다
   5-3 초기 유저 생성 및 서버 명 설정

 

6. 최초 네트워크 설정 (자세한 내용은 Collab 에 기재)
   6-1 /etc/netplan/50-cloud-imit.yaml 파일 생성 후 양식에 맞게 작성

network:
  version: 2
  ethernets:
    enp9s0f1:
      addresses:
    # - {IP/CIDR}
      - 10.158.3.37/24
      gateway4: 10.158.3.1 #GW IP 입력
      nameservers:
        addresses:
      # - DNS IP 입력
        - 10.159.1.11
        - 10.159.1.12      

   6-2 /etc/network/interfades 파일 생성 후 양식에 맞게 작성

auto lo
iface lo inet loopback     

   6-3 netplan apply

 

7. 서버 재기동 후 ip addr 명령으로 IP할당 확인 및 접속 확인

 

8. apt-get update 후 필요한 툴 설치 (ifconfig, openssh-server 등)

 

9. ssh 접속 확인

 

10. PV 확인

pvsacn

 

11. 볼륨 그룹 생성
사용 가능한 사이즈 모두 할당 시 
lvcreate -l 100%FREE -n data001 ubuntu-vg

특정 용량만 할당 시
lvcreate -L 10G -n data001 ubuntu-vg

 

12. 마운트 할 디렉토리 생성 후 볼륨 그룹 초기화 및 마운트
mkdir /data001
mkfs.ext4 /dev/ubuntu-vg/data001
mount /dev/ubuntu-vg/data001 /data001

 

13. /etc/fstab 추가
/dev/mapper/ubuntu--vg-data001 /data001 ext4 defaults 0 1

 

14. 연결 확인

df -h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Ununtu 절전모드 해제  (0) 2025.02.18
MaaS (Metal as a Service)  (1) 2024.09.09
Ubuntu Linux Process 정리  (0) 2024.07.17
Ubuntu apt 패키지 초기화  (0) 2024.05.31
Ubuntu 22.04 LTS SSH접속 안될 때  (1) 2023.11.02